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백준 14888번
- C++
- 로봇청소기
- 삼성 sw 역량테스트
- chromeSetup.exe꺼짐
- 연산자 끼워넣기
- 바로꺼짐
- 크롬 설치 안됨
- 크롬설치
- chromeSetup.exe 안됨
- ChromeStandaloneSetup64안됨
- 크롬설치파일꺼짐
- 백준 14503번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122)
공대생의 개발 일기장
* Python의 기본 문법에 대한 부분은 'Python 기본편'에 포스팅한 내용을 보자. 여기서는 간단히 표기할 것이다. 1. if~else문 - 일단 괄호가 없다. 그리고 중괄호 없이 ':' 로 구분한다. ex) if a % 2 == 0: 2. function은 예시문으로 보자. ex) def functionName(): 으로 선언하고 내용물을 채우는 것은 똑같다. 3. lamda함수 - 함수를 딱 한 줄!로만 표현 해주는 치트키 예시문으로 보자. (lamda x, y : x+y)(10, 20) -> 30 t = lamda x:x*2+1 -> t(6) = 13 t = lamda x:print("test: {}".format(x+3)) -> t(2) = test: 5 참고로 여기서 print는 { }안..
솔직하게 인공지능 너무 매력적이다... 물론 기껏해야 영상 몇 개 찾아보고 chatGPT정도 두들긴게 끝이지만...? 어쨌든 사실 공부해보고 싶은 건 사실이다. 근데, 시간이 없다... ㅠㅠㅠㅠ 아직은 인공지능 개발자로서 성장하고 싶다는 마음보다는 백엔드 개발자로 시작해 나중에 인공지능 개발자로 발을 담궈보고 싶은 마음인데 아직 자바도 제대로 못했고, 코딩테스트도, CS도 심지어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부분들은 하지도 시작도 못했다... 이 와중에 졸업 요건을 채워야해서 쏟아지는 7전공까지 으... 덕분에 Python의 P자도 모르는 상태이고 학부 수업인 인공지능 수업은 이론은 그냥 뭐... 미분이라던지 확률변수론이라던지 수학적 개념이 많이 나와서 오히려 이해하기 쉬운데 실습은... 전혀 못따라가는 중. 그..
학교 포탈 사이트 로그인을 유지하면서 포탈 사이트의 다른 게시판에 대한 접근에 대해서 현재 진행이 막혀버렸다... 현재는 다른 대안을 생각 중이다. 학교에 문의 해봤는데 일처리가 늦어지는건지 까먹었는지 답신이 없다ㅠ 안되는 이유를 여러번 생각해보고 코드도 계속 수정해봤는데 안되는 것으로 보아 아무래도 학교 포탈 사이트의 보안 방식이 우리 팀이 생각했던 것만큼 단순하지 않았던 것 같다. 우리는 그냥 쿠키, 세션이 남아있는 형태로 그걸 로그인을 유지하면서 다른 게시판에 접근하려 했는데 로그인 인증 토큰이 넘어가나보다. 문제는 그걸 어떻게 data로 넘겨줘야할지 모르겠다는 것..??? 지금은 다른 과제가 코앞에서 닥쳐서 일단은 학교에 대답을 기다리며 급한 불부터 끄기로 했다. 혹은 팀 회의를 통해 다른 대안을..
pstree는 말 그대로 process의 tree형태를 보여준다. 명령어도 단순한데 $ps -f로 알고 싶은 프로세스의 PID를 파악한 후에 $pstree -sp (PID)로 명령어를 입력하면 pstree의 형태로 순서가 나열된다. 여기서 -s는 show parents로 선택된 프로세스의 부모를 같이 보여주고 -p는 PID를 함께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env라는 command를 치면 환경변수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뭐 여러개가 나온다. $echo $PATH라고 하면 특정 환경변수만 보여준다. 근데 사실 echo니까 당연한거 아닌가...? 싶기는 한데 어쨌든 다르다. 아마 한번 command를 쳐보면 알 것이다.
fork를 사용하면 디버깅할 때 프로세스가 여러개가 되기 때문에 gdb로 fork를 실행하는 파일을 열어보면 부모 코드를 default로 따라가게 되어있다. 그럼 자식을 따라가고 싶으면 $gdb ex1 (gdb) set follow-fork-mode child 이와 같이 입력하면 따라가며 디버깅할 수 있다.
fork, exec에 이은 System calls for process의 명령어 exit와 wait에 대해서 알아보자. 먼저 exit를 보자. exit은 기본적으로 프로그램을 끝내라는 것이다. 프로그램이 exit()을 호출하면 시스템이 이 프로그램을 stop시킨다. 즉, 시스템에서 지운다. 이 exit의 경우에는 프로그램이 호출하는 경우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프로그램이 exit( )을 호출하지 않아도 프로그램의 main이 끝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exit( )을 호출해준다. 즉, 프로그램이 종료된다. 종료가 되면 이 프로그램을 시스템에서 지워야하는데 이 프로세스는 Body와 process discripter 두 개중에서 exit( )는 Body만 지운다. 그렇다면 process discrip..
fork와 wait를 이용하여 자식 프로세스만 실행시키는 식으로 execve를 반복 실행시키거나 순서를 정할 수 있다. if(fork() == 0){ // 실행내용 execve(argv[0], argv, 0); } else{ wait(0); // 추가로 printf를 넣어도되고 안넣어도되고 } getcwd는 쉽게 말해 현재 있는 경로를 받는다. buf는 그 경로를 저장할 공간이고, size는 buf에 할당된 메모리 크기를 말한다. #include char *getcwd(char *buf, size_t size);
솔직하게 고백하자면 너무 팀원들이랑 수준차이가 나서 도저히 따라갈 수가 없다. UI/UX를 맡으신 분은 이미 거의 완성형이신 분이시라 이미 거의 끝을 바라보고 계시고 프론트엔드를 맡으신 분들은 분명 아무것도 할 줄 모르는 초보라고들 하셨는데... 다들 결과물을 매주 회의때마다 턱턱내신다... ㅠㅠㅠㅠㅠㅠㅠㅠ 나말고 다른 백엔드 팀원분도 자기 역할 잘하고 계시고 나만... 내가 너무 욕심이 많았나 싶긴하다.. 자바도 해야하고 자바 spring도 찔끔 배워보고 이와중에 학교 공부랑 코딩테스트도 야금야금 준비... ㅎ 어쨌든 드디어 뭔가 궤도에 오른 것 같아 프로젝트 시작한지 몇 주차인지도 기억안나지만 만에 시작한다. 지금까지 한 것. -자바 spring이란 무엇인가? -> 정말 무엇인지만 알게됨. start..